방화문 소개
방화문(강제창호) 구성
Q. 방화문(강제창호)는 단순한 문일까요?
A. 단순한 강철제 문이 아닙니다.
- 방화구획
- 화재가 번지지않도록 하는 역할
- 환경성능
- 단열, 기밀, 결로
- 방범
- 재산을 지키는 역할, 디지털 도어락
- 미관
- 인테리어
- 복합자재
- 철제강판, 채움재(단열재 등), 접착제, 개스킷 등
- 설치위치
- 세대현관문, 대피공간문, 공용부위 방화문
- 출입문
- 상시 보고 만지는 대상
- 형태
- 편개문, 양개문
- 내구성
- 개폐력, 비틀림, 개폐반복성 등
- 재질
- 알루미늄, 스테인리스, 합성수지, 강철 등
방화문(강제창호) 용어 설명
구분 |
용어정리 |
사진 |
문짝 표면판
| 문짝 제작시 외부 판 [종류] - 전기아연도금강판(EGI강판) - 용융아연도금강판 등 |
 |
골구 보강
| 문짝의 강성을 높이기 위해 문짝 4면에 넣는 보강재 |
 |
기타 보강
| 부속철물의 부착 강성 등을 위해 문짝 및 문틀에 넣는 보강재 [종류] - 도어록 보강 - 도어클로저 보강 |
 |
문짝/문틀 내부 채움재
| 단열 및 변형 방지 등을 위해 문짝 및 문틀 안쪽에 채워 넣는 재료 [종류] - 종이 허니컴(난연 등) - 미네랄울 - 크라스울 |
 |
문짝 접착제
| 문짝 일체화를 위해 채움재와 문짝 표면판을 부착 하기 위한 재료 [종류] - 무기질계 접착제 - 유기질계 접착제 |
 |
출처 : 한국토지주택공사 '강제창호 제작, 품질검수 실무매뉴얼 2018'